'호코마스크쿠스, 상상 코로나, 집콕족, 랜선운동, 긴급청년수당'
코로나19 사태로 그동안 없었던 신조어가 300개 이상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학교 남길임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25일 발행된 한국사전학회 저널 '한국사전학'에 '코로나-19 신어의 수집과 사용 양상 연구' 논문을 실었다.
경북대학교 언어정보연구센터는 지난해 12월부터 10개월간 인터넷을 통해 77개 언론매체의 코로나19 관련 제목과 본문을 수집한 뒤 이를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300여개의 코로나19 신조어 중 45%에 해당하는 136개가 전문용어로 나왔다.
이 중 복지 관련 어휘는 57개로 42%에 달했다. '긴급재난지원금', '재난기본소득', '아동돌봄쿠폰', '긴급돌봄제도', '긴급고용지원금', '긴급청년수당', '긴급재난기부금' 등이 대표적이다.
일반어 178개 중 '집콕족', '온라인개학', '랜선운동'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달라진 일상생활을 반영한 어휘는 65개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경험하고 있는 불안과 우울 및 분노를 담은 '상상 코로나', '코로나 블루' 등의 신조어도 등장했다. 호모마스크쿠스처럼 마스크 관련 신조어도 26개나 나왔다.
남 교수는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이 인간 생활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한국어 신조어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남길임 교수는 아울러 "복지 영역 신조어는 코로나19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진 보건, 의학 분야 신조어보다 훨씬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며 "이는 코로나 사태가 결국 삶의 질 문제와 긴밀한 영향 관계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최기성 기자 gistar@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