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여 원의 물품 대금을 갚지 않고 도피 행각을 벌여온 60대가 범행 18년 만에 중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오늘(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1부(김선희 임정엽 권성수 부장판사)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 무고,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A(60)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습니다.
화장지 제조업체를 운영하던 A씨는 2003년 "의류 원단을 공급해주면 회사 공장을 담보로 제공하고 금액은 나중에 결제하겠다"며 피해자 B씨로부터 5억1천여만 원어치의 원단을 빌린 뒤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혐의를 받습니다.
A씨는 이 무렵 다른 피해 회사 C사에서도 5억7천여만 원 상당의 사업 물품을 공급받고 값을 치르지 않았습니다.
이밖에 은행에서 총 1억2천여만 원의 수표를 발급받고 지급 의무를 피하려 금융기관에 수표가 변조됐다는 허위신고를 해 은행 직원을 수표 위변조자로 무고한 혐의도 있습니다.
A씨는 2003년 이 같은 혐의로 수사를 받던 중 중국으로 도주해 해외를 떠돌다 2008년 말레이시아에서 강제 추방됐습니다. 이후 국내로 들어와 체포된 후 일부 범행을 자백하다 이내 번복하고 2009년 다시 해외로 도피했다 올 4월 재귀국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수사 및 재판 도중 국외로 도망가 소재 탐지를 위해 많은 사법·행정자
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은 2002∼2003년 이뤄진 것으로, 현재 물가를 기준으로 산정하면 피해액은 위 금액(범행금액)보다 현저히 많은 점 등을 고려해 형량을 정했다"며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