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가 현재 고등학교 1학년이 치르는 2023학년도 정시모집에 내신을 반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서울대는 그동안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점수 100%로 정시 모집을 해왔는데 내신 20%를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교과 이수 현황, 교과 성적, 세부능력및 특기사항 등 정성평가를 적용하는게 핵심이다. 정시에 지역균등전형(지균)도 신설하고 이 경우 교과평가 40%를 반영한다.
이는 대입제도 공정성 확보를 위해 정시를 확대하고 있는 정부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다. 현재 학종비중이 80%에 육박하는 서울대는 이를 60%로 낮추고 정시를 40%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정시 확대 요구를 수용하면서 원하는 학생을 뽑기위해 정시에 학종 요소를 가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 배경에는 입시에 수능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그대로 두지 않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 소위 '정시파'들이 학교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않고 이탈이 많다보니 수능 100%로 학생들을 선발하기보다는 학교생활 충실도 등을 감안해 학생을 뽑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하지만 모호한 학종의 꼼수확대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갑작스러운 입시 변화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동요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현재 고1부터 새 입시전형이 적용되는데 대한 불만이 터져나오고있다. 정시 확대 기조가 발표된 후 고교를 선택했는데 갑자기 내신까지 평가하겠다고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학생부 중요도가 증가하면서 이미 내신을 포기하고 정시를 준비해온 학생들의 경우 서울대 진학에 큰 걸림돌이 생긴 것이다.
만약 타대학들도 서울대 방식을 따라갈 경우 정시 확대라는 취지는 퇴색될 수 밖에 없다. 학생들도 내신, 비교과, 수능 등 여러 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부담이 더 커질수 밖에 없다.
청와대 국민 청원게시판에는 서울대의 편법적인 수시 증원 방침을 철회해달라는 청원글이 빗발치고있다. 헌법소원도 등장했다. 고등학생·대학생 9명은 "정시를 목표로 서울대 입시를 준비하던 학생들의 헌법상 평등권, 직업선택의 자유,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는 침해한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 청구서를 제출했다.
원하는 인재상을 뽑으려는 대학 마다
[심윤희 논설위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