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의 한 영화관 뒤편 먹자골목에 남자들이 떼로 서 있고, 혼자 지나가는 젊은 여성한테만 알 수 없는 스프레이를 몰래 분사한다고 합니다. 다들 조심하시고 널리 퍼 날라 주세요."
지난달 21일 트위터에 올라온 이 짧은 글은 1000여회 가까이 리트윗(재전송)됐고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확산했다.
8일 경찰에 따르면 이 트윗은 강남역 인근 한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들의 거리 판촉행위가 와전된 결과로 보인다.
트윗이 올라온 날 오후 7시께 '강남역 11번 출구 앞에서 젊은 남성 여러 명이 손 소독제를 들고 여성을 대상으로만 호객행위를 한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경찰은 이들이 여성의 손에 소독제를 뿌린 행위에 폭행이나 추행의 고의는 없다고 보고 현장에서 계도 조치했다.
해프닝으로 마무리 된 이 사건에 대해 여성들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하지만 이유가 있다.
공공장소에서 남성이 불특정다수 여성에게 신체 접촉 없이 액체를 뿌려 범죄로 규정된 사례가 여럿 있기 때문이다.
작년 9월 남성 취업준비생 B씨가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수변공원 일대에서 길을 가던 여성 6명의 스타킹에 검은색 잉크를 뿌리고 달아났다가 붙잡혀 재물손괴와 폭행 혐의로 입건됐다.
전문가들은 이런 범죄가 여성에 대한 무시와 적대감 등 '여성 혐오' 표출이라고 본다.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신을 사회적 약자나 패배자로 느끼는 일부 남성이 자신보다도 약하다고 생각되는 여성을 상대로 반감과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윤미 변호사는 "정액처럼 확실히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