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7일 도입되는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에서도 방역과 일상의 조화에 무게를 둔 '1단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오늘(3일) 백브리핑에서 "새 거리두기 체계는 1단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설계됐고 현재까지 1단계 기준을 초과하는 권역은 없었다"고 진단했습니다.
손 반장은 "환자가 급증한다면 단계를 조정할 수도 있으나 현 상황을 보면 7일 시행하면서 굳이 단계를 조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거리두기 격상은 특정 요일을 정해놓기보다는 계속 위험도를 평가하면서 직전 한 주 상황이 지표가 악화하는 순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를 마련하고 그제(1일) 세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새 거리두기 체계에선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의무화해야 하는 시설이 23종으로 현재(12종)의 2배 정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정부는 이를 준비할 기간을 5일 정도로 설정하고 7일 새 체계를 시행키로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 연속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두 자릿수로 집계된 점에 대해서는 "안심하기 이르다"고 평가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손 반장은 "오늘 국내발생 환자 수는 줄었으나 주간 흐름을 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라 긴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내부적으로는 가급적 국내발생 환자 수를 100명 이내로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통제해 나간다는 목표를 담고 있지만, 현 추세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면 '두 자릿수'가 (넘을 수 있는) 아슬아슬한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집단감염이 1∼2곳에서 대규모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생활 속 다양한 공간 속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양상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게 손 반장의 설명입니다.
그는 "일상생활의 여러 부분에서 감염이 터지다보니 특정시설의 방역수칙을 강화하는 식의 정책 대응은 어렵고, 국민의 자발적인 실천과 노력이 중요하다"고 거듭 당부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