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낭비와 불공정 계약 의혹이 제기된 강원도 춘천시 레고랜드 테마파크 사업과 관련해 정치권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강원도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감사원 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등 도 행정 전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인 이명수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국감 보도자료를 통해 "강원도가 8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3%의 임대수익만을 확보하기로 한 레고랜드 총괄개발협약서(MDA) 체결은 외국업체 퍼주기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또 어린이 놀이공원의 50년간 독점권 보장에 대해서도 불공정계약의 끝장 드라마라고 몰아세우며 "강원도 출자기관인 강원중도개발공사(GJC)와 영국의 멀린사와 함께 진행 중인 레고랜드 공사의 공정률은 31%에 그쳐 내년 개장이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는 개장 후 지역경제 파급효과와 수익성인 데 만성적인 적자가 우려된다"며 "레고랜드는 강원도민에게 피해를 고스란히 전가하는 사업으로, 감사원 감사를 받아야 할 전형적인 부실 사업"이라고 부
같은 당 소속인 박완수 의원과 서범수 의원도 레고랜드 개장 시점과 2050억원에 대한 강원도의 채무보증 문제를 집중 질의했다.
이에 최문순 강원지사는 "다시 출마할 수는 없지만 어떻게든 책임을 지겠다"며 "채무보증의 경우 다 갚을 수 있는 돈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