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펀드사기를 넘어 정·관계 로비 의혹까지 확산되고 있는 옵티머스자산운용 사건 관련자들이 첫 공판기일에서 서로 수사 정보를 흘린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가 흘린 정보가 재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책임을 돌리는 모습을 보였다. 검찰도 수사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기록이 왜곡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1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34부(부장판사 허선아) 심리로 진행된 김 대표 등 5인의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 1회 공판에서 김 대표 측 변호인은 "피고인 사이 가담 여부와 책임의 경중을 다투고 있고 이해관계가 상반되는데 재판에서 가려지기도 전에 김 대표가 정관계 로비를 주장하고 펀드 운영에 책임이 있는 것처럼 (보도가) 나와 고통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변호인이 열람을 통해 알게 된 다른 피고인이나 참고인의 진술내용과 증거를 왜곡해 흘리는 행위로 공판 준비에 지장이 없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검찰도 "진행 중인 수사에도 영향이 심각하다. 어떤 피고인과 변호인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언론에 증거기록을 제공했는지 알 수 없으나 수사기록이 왜곡될까 심히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
재판부가 "오히려 검찰 측은 변호인이 유출한 걸로 보는 게 아닌가"라고 묻자 김 대표 측 변호인은 "아니다"라고 했다. 검찰도 "저희가 변호인이 유출했다고 한 게 아니다"고 대답했다. 이후 이동열 옵티머스운용 이사 측도 "공범 중 누가 유출한 게 아니냐는 취지의 기사도 봤다. 일단은 유출한 게 다른 관계자가 아닌지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재판부는 "직접적 공소사실과 관련된 부분은 전혀 언론에 드러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신경쓰지 않고 있다. 선입견을 가질 염려할 필요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부장검사 주민철)는 최근 김 대표가 옵티머스펀드 운영시기에 당시 청와대 행정관 A씨를 만난 정황을 파악하고 진위를 따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원이었던 A씨는 윤 변호사 부인인 이모 전 청와대 행정관과 다른 인물이다. 검찰 등에 따르면, 옵티머스 관계자들은 김 대표가 A씨와 친분이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고 한다. 일부 참고인은 "김 대표가 A씨에게 용돈을 챙겨줬다는 말을 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와 A씨는 이 사건 로비스트로 지목된 전 연예기획사 대표 신 모씨를 통해 알게됐다고 한다. A는 검찰 수사가 진행되던 지난 7월 청와대를 퇴직하고 개인사업 중이다.
이날 채동욱 전 검찰총장(61·사법연수원 14기)이 속한 법무법인 서평은 입장을 내고 "이번 옵티머스 사기사건과 관련해 옵티머스 관계자와의 접촉, 상담, 자문이나 검찰관계자 접촉 등 어떠한 관여나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채 전 총장은 옵티머스 자산운용의 고문으로 활동했고, 옵티머스 경영진이 작성한 내부 문건에서 수차례 이름이 나왔다.
특히 지난 5월 김 대표 등이 작성한' 회의 주제'라는 문건에 따르면, 이들은 김 대표의 도주를 계획하며 검찰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러
서평은 "서울남부지검 성지건설 수사 당시 유모 스킨앤스킨 고문씨 사건을 수임해 변론한 것은 사실이나 구속기소 후 사임했다"고 밝혔다. 또 "금번에 이슈화한 옵티머스 사건과는 무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희영 기자 / 류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