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관문인 공항과 항만에서 모든 관광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하는 '제주형 방역'(J방역)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오늘(14일) 제주도 문화체육대외협력국과 관광국 등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K방역'이 아닌 'J방역'을 만들어야 할 때라고 주문했습니다.
박원철 도의원은 "제주의 산업을 분류할 때 3차 산업의 비중은 약 70%라고 할 수 있다. 관광업 종사자 10만여 명, 체육지도자·스포츠 용품 등 체육 관련 종사자 7만3천600명, 문화예술인 5만여 명 등 총 23만여 명에 달한다"며 "제주도에서 제주형 특별방역 고시를 5차례 하며 타지역보다 강화된 방역이 이뤄지는 동안 이들이 대부분의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추석 연휴와 한글날 연휴에 42만 명 관광객이 입도하는 등 예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고 했지만, 정작 4∼5성급 호텔과 렌터카업체, 골프장 등 대기업만 호황을 누렸고 나머지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습니다.
박 의원은 "제주는 공항과 항만만 통제할 수 있다면 제주는 안전하다는 믿음을 줄 수 있다"며 "김포·인천 등 각 공항과 항만에서 또는 제주에서라도 모든 관광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한 뒤 음성 판정을 받고 들어오면 마음껏 관광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2일 제주 59번 확진자가 퇴원하면서 현재 제주에서 코로나19로 입원 치료 중인 확진자는 없으며, 지역감염도 없는 상태입니다.
박 의원은 "충분히 제주에서 비용을 감당할 수 있고, 그 비용 혜택을 제주도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제주만의 특화된 방역을 한다면 그 파급효과는 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영희 의원도 "'섬'이라는 특수성을 잘 활용해야 한
최승현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관련 내용에 대해 제주도 차원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때 수차례 계속해서 건의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계속해서 건의하고, 가능한 방안을 고민해 추진하도록 검토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