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의 숙원이었던 혁신도시 지정이 확정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8일 제28차 본회의를 열어 국토교통부가 심의를 요청한 충남과 대전 혁신도시 지정안을 의결했다. 균형위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방안 등이 결정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대전·충남 혁신도시의 이전기관 규모와 구체적인 입지·면적 등은 향후 별도로 결정하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전국 혁신도시는 12개로 늘어나게 됐다. 국토부는 이달 중 충남과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을 발전시켜 동서 불균형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대전의 새로운 미래 100년을 설계할 수 있게 됐다"고 반겼다. 허태정 시장은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은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연구소, 지역대학 인재들이 결합해 산·학·연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터전을 마련했다. 대전은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발전의 본보기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허태정 대전시장이 8일 혁신도시 추가 지정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제공 = 대전시] |
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산·학·연·관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의 성장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도시를 말한다. 지역에서는 수도권지역에서 이전하는 공공기관을 입주시킬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메리트로 여기고 있다. 두 도시는 혁신도시에 수도권지역의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연구소 등을 유치해 지역발전을 견인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 혁신도시가 활성화되면 정주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주택·교육·의료·문화·체육시설 등 정주여건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은 지역인재를 의무적으로 최대 30%까지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대학과 고교 졸업생들의 취업문이 활짝 열리게 될 것이란 기대에서다.
![]() |
↑ 양승조 충남지사는 8일 혁신도시 지정이 확정된 뒤 기자회견을 열고 "도민 여러분이 새 역사를 만들었다"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 제공 = 충남도] |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