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환경부 3차 추경 내역. [자료 출처 = 환경부] |
5일 환경부에 따르면 자원관리도우미 제도를 위탁 운영하고 있는 한국환경공단은 이주까지 8000여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2기 선발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당초 9월 말까지 채용 절차를 마치고 이달 초부터 현장에 추가 인력을 투입하겠다는 방침이었지만 앞서 선발된 5384명의 1기 인원 중 20% 가량이 그만두면서 계획보다 시간이 더 걸렸다는 설명이다.
![]() |
↑ 자원관리도우미 참여자 모집 공고. [자료 출처 = 한국환경공단] |
현장에서는 자원관리도우미 제도의 실효성이 적다는 반응이다. 거주민들이 내놓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과정을 직접적으로 돕는 것이 아니라 '용기나 포장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배출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알리는 수준에 불과해 단순히 안내 포스터를 부착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A아파트 관계자는 "3000가구가 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다 보니 처음 사업 공고를 안내받았을 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겠다고 기대했다"며 "그러나 근무자들이 아파트 단지를 방문하는 시간대가 재활용 쓰레기 배출이 주로 이뤄지는 저녁 시간대가 아닌 오후 시간대인데다 단순히 배출 방법만 안내하고 다른 아파트로 이동해 (제도 시작) 전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일부 단지는 자원관리도우미 인력이 배치된 것으로 분류됐지만 실제로는 방문이 이뤄지지 않는 등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정황도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이 인력 배치를 한 것으로 파악한 서울 송파구 소재 B아파트 관계자는 "자원관리도우미 제도에 대해 (취재 문의를 통해) 처음 들었다"며 "현재 우리 아파트는 거주민들이 관리비를 별도로 걷어 재활용 폐기물 분류 작업을 돕는 인원을 따로 고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서울 지역 의무관리대상단지 중 4000가구가 넘는 10곳에 문의해본 결과 제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무소는 4곳에 불과했고, 3곳은 자원관리도우미가 한 번도 찾아온 적이 없다고 밝혔다. 또 나머지 3곳은 자원관리도우미의 방문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형식적인 수준에 불과했다고 답했다. 홍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거주민이 많은 단지에 자원관리도우미를 우선 배치했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제도 운영 초기 과정에 8000명이 넘는 2기 인원 선발 업무까지 겹쳐 기존 인원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부분이 있다"며 "이달 초까지 공백이 있는 지역에 추가 인력을 배치해 사업 운영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진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