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마 기간 내리는 비가 열대성 집중호우로 변하고 장마 기간의 구분이 어려워지면서 기상청이 관련 용어를 수정할 방침이다.
기상청은 28일 오후 온라인 장마토론회를 개최하고 △올해 우리나라 장마 현황 △장마 전망에 대한 분석·소통의 어려움 △장마특성 변화에 따른 개념 재정립 등을 논의했다.
기상청은 "그동안 장마를 정체전선으로 인해 많은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현상으로 이해하고 정체전선을 '장마전선'이라 부르고 있었지만, 올해는 장마 기간이 길어지면서 정체전선, 저기압, 대기불안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특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장마 기간에 정체전선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장마 기간에 비가 오지 않는 날이 많아 장마 기간의 구
이에 따라 기상청은 앞으로 '장마전선'이 아닌 '정체전선' 표현을 사용하고 장마 기간을 '장마철'로 표현할 예정이다. 또 장마철 집중호우 예측성 향상을 위한 집중관측과 분석, 수치모델의 종합적인 연구를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금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