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비플러렌계 전자 수용체 기반 포토다이오드 소자 [사진 = 중앙대] |
비플러렌계 전자 수용체는 빛 흡수 능력이 뛰어나 흡광 영역이 넓고, 구조·합성 방법이 다양해 유기태양전지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러런계에 비해 노이즈 신호 제어 문제 등 낮은 성능으로 유기반도체 기반 포토디텍터 분야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나노소재·소자의 최적 구조 디자인으로 광신호에 의해 형성된 전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역방향 전하 흐름을 억제할 전자 수용체 물질(eh-IDTBR)을 도입, 박막형 유기반도체 광센서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비플러렌계 전자 수용체는 플러렌계와 대비해 암전류를 수십배 억제할 수 있고, 높은 흡광 능력으로 반응 신호를 향상시킨다. 또 빠른 응답속도와 넓은 응답대역 등 기존 성능보다 뛰어나고, 외부 스트레스(열·전기)에 대한 구동 안정성도 확인됐다.
왕동환 중앙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이미지 센서 기술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산업용 카메라의 화질 개선, 자율주행차 카메라의 정확도및 반응속도 향상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대학교 전일 교수팀과 공동으로 발표한 이번 논문 '비플러렌계 전자 수용체 기반 유기 광전자소자의 노이즈
[조성신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