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운용역 4명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연금관리공단은 기금운용본부에서 대체투자를 담당하는 책임운용역 1명, 전임운용역 3명이 대마초 흡입 혐의로 경찰에 입건돼 수사를 받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의 수사는 기금운용본부가 있는 전분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가 맡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대마초 흡입 혐의자들에 대한 수사를 이달 말까지 끝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경찰로부터 이 사실을 통보받고 지난 9일 이들을 해임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소수의 일탈이긴 하지만 국민의 노후자금을 관리하는 기관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6월 말 기준 752조2000억 원의 기금을 운용하고 있고 대체투자 부문의 규모는 약 90조원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국민연금관리공단이 직원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일어난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동안 직원들의 기강해이와 관련한 사건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이다.
지난 2017년 2월에는 퇴직예정자 3명이 기금운용 기밀정보를 전송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실장 1명을 비롯한 3명은 프로젝트 투자자료, 투자 세부계획 등 기밀정보를 외장 하드와 개인 컴퓨터 등에 저장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당시 기금운용본부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세부적인 경위 파악과 인사조치 등을 하지 않았다.
2018년 10월에는 기금운용본부 직원 114명이 해외 위탁운용사들로부터 지원을 받아 해외 연수를 다녀온 것도 확인됐다.
국민연금 임직원 행동강령에 따르면 직무 관련자로부터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금품 등의 수수가 금지된다.
하지만 이들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숙박비, 식비, 항공료 등의 명목으로 총 8억4700만 원을 지급받았다.
이 기간 해외 위탁운용사의 수익률도 국민연금이 직접 운용하는 것보다 좋지 않아 많은 이들의 원성을 샀다.
또 감사원이 이들 직원의 연수비용을 자체 예산으로 집행하고 해외 위탁운용사가 부담하는 일이 없게 하라는 조치만 내려 처벌이 약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편 기금운용본부는 2017년 전주혁신도시로 이전한 후 인력난을 겪고 있다.
작년 국민연금은 3년 차 기금운용본부 자산운용전문가 21명을 선발하려고 했으나 16명밖에 채우지 못했고 퇴사자도 늘었다.
과거 기금운용본부는 최고의 증권사 매니저들이 모이는 직장으로 평가받았지만 인력난과 이 같은 사건이 이어지자 국민들의
자산운용은 매니저의 개인 실력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자산운용은 매니저의 개인 실력에 달려있다"라며 "기금운용 수익률은 1%포인트만 떨어져도 고갈 시점이 5년 앞당겨지기 때문에 국민들이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전했다.
[최유빈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