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증·무증상 확진자 선별을 위해 일각에서 신속히 진단키트를 도입하자는 주장에 대해 "정확성 등의 문제로 도입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17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정확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서 신속 진단키트를 최종 진단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당국이 쓰는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바이러스가 아주 소량만 있어도 조기에 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지만, 신속 진단키트는 몸 속에 바이러스양이 많은 경우에만 양성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민감도가 PCR 검사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각 제품의 민감도가 90%라고 하면 이는 100명의 확진자 중 90%는 찾아내지만 10%는 놓친다는 의미"라면서 "100명 중 10명의 확진자를 놓치게 되면 이 확진자로 인한 추가적인 전파를 당국이 차단할 수가 없게 되고, 또 확진자 본인의 경우에는 제대로 치료받을 기회를 놓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정확성의 문제 외에도 코로나19 검체의 경우 의료진이 아니면 채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신속 진단키트를 '자가진단용'으로 쓰기는 어렵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입니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 진단키트가 도입되면 마치 임신 진단키트를 쓰듯 자가진단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질의에 "코로나19 진단키트에 쓸 검체를 본인이 채취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며 "의료진도 어렵게 진행하기 때문에 검체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답변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항체 검출 방식의 신속 진단키트로는 확진자를 조기에 찾기가 어렵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그는 "감염 이후 항체가 생기는 데는 1주일에서 2주일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감염)초기에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초기에 검사하면 모두 다 음성으로 판정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WHO(세계보건기구)나 미국의 CDC(질병통제예방센터)의 경우에도 이런 신속 진단키트를 검사 방법으로 쓰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PCR 검사 결과가 신속하게 나오기 때문에 (진단키트 도입을) 아직 검토하고
그는 "보조적으로 (신속 진단키트 도입을) 검토할 수 있지만 결국 PCR 검사를 하지 않고서는 진단하기 어렵다"면서 "만일 유럽이나 미국처럼 감염이 광범위하게 확산돼 PCR 검사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렵고, 한계가 있더라도 이 검사를 활용해야 하는 시기가 오면 (도입을) 검토해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