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오늘(14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군 복무 시절 특혜 의혹의 상당 부분이 사실이 아님이 드러났다며 대대적인 엄호에 나섰습니다.
이낙연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치권은 정쟁을 자제하고 검찰 수사를 돕고 그 결과를 기다리는 게 옳다"며 "야당이 정치공세를 계속하면 우리는 사실로 대응하고 차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야당과 언론이 제기한 여러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니고 진실이 많이 밝혀졌다"며 "국회는 경제 살리기에 집중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추 장관 아들의 자대 배치 청탁 의혹에 대해 "박근혜 정부 말기 탄핵이 논의되던 시점이고 추 장관은 당시 야당 대표여서 납득할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또 "(군에) 규정에 대한 문의 전화를 한 정도라면 법적으로 문제 삼거나 부적절하다고 보더라도 장관 사퇴 정도까지 정치적으로 문제 삼을 사안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박범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장관, 대표이기 전에 한 명의 어머니"라고 했고, 김남국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어머니들이 군에 자유롭게 연락을 하는 등 병역 문화가 달라졌는데 이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고위원회의가 생중계된 당 공식 유튜브 채널 '씀' 라이브 댓글 창에는 '#우리가추미애다', '#황희의원님응원합니다'란 글이 연달아 올라왔습니다.
최초 제보자인 당직 사병의 배후설도 계속됐습니다.
김경협 의원은 페이스북에 "특혜 병가 의혹을 최초로 제기한 제보자(당직 사병)는 육본 대위의 외압이라고 왜 거짓말했을까? 교육생 가족 전체에게 했던 오리엔테이션을 왜 '서 일병 할머니에게 청탁하지 말라는 교육을 40분 했다'고 거짓말을 했을까"라며 "누가 시켰는지 배후를 반드시 밝혀야
민주당은 추 장관에 대한 야권의 공격을 '검찰개혁 흔들기'로 규정하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위한 관련 법안을 연이어 발의하며 개혁 입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신동근 최고위원은 국민의힘을 향해 "특별감찰관부터 임명하라는 입장은 몽니"라며 공수처 설치에 협조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