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조치를 시작한 후 수도권 인파가 몰리는 한강공원과 관련해 아직 코로나19 발병 사례는 없지만,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8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한강공원 내 감염이나 추가 감염전파에 관해 확인된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실외에서도 거리두기를 지키기 어렵거나, 비말(침방울)이 전파될 수 있는 거리 안에서 마스크 착용 없이 장시간 노출되는 환경이라면 감염 위험도를 최소한 중위험 이상으로 판단한다"며 "한강공원 내 편의점 등 실내시설이나 거리두기를 지키기 어려운 실외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해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자 술집·음식점 대신 한강공원 노상에서 음식을 먹거나 음주를 하는 사례가 부쩍 늘어났다.
그러던 중 이달 초 서울 광진구 뚝섬한강공원 내 편의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방문한 사실이 확인되자 서울시는 8일 오후 2시부터 여의도·뚝섬·반포 등 주요 한강공원 내 밀집지역에 대한 시민들의 출입 통제를 발표했다.
시는 또 11개 한강공원 내 43개 주차장에 대해서도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진입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공원 내 야간 계도 활동도 강화해 오후 9시 이후 음주와 취식
권 부본부장은 서울시의 해당 조처에 대해 "서울시가 수도권의 코로나19 발생 상황과 한강공원의 전파 위험도를 고려해 취한 것으로, 합리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