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호 태풍 '마이삭'의 북상으로 1명이 숨지고 2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마이삭으로 인해 부산 사하구에서 1명이 숨졌다고 3일 전했다.
이날 오전 1시께 태풍으로 아파트 베란다 창문이 파손되면서 유리 파편에 맞아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이재민은 17세대 22명이 발생했다.
지역별 이재민 강원 15명, 제주 5명, 경남 1명, 부산 1명 등은 아직 귀가하지 못한 상태다.
산사태나 월파 등 인명피해가 우려돼 일시 대피한 인원도 1505세대 2280명에 달한다.
시설피해는 모두 858건 보고됐다.
사유시설 피해가 563건, 공공시설 피해는 295건이다.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침수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택파손 25건, 지붕파손 51건, 차량침수 11건, 간판파손 138건 등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시설 피해로는 도로침수 24건, 가로수 파손 11건, 신호등 파손 34건 등이 발생했다.
태풍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와 철도도 일부 통제됐다.
부산과 경남, 전남, 대구 등에서 도로 95곳이 통제됐고 철도는 경부선 동대구~부산, 동해선 부전~영덕, 영동선 영주~강릉 구간 등 6개 노선에서 40개 열차가 운행을 멈췄다.
북한산·다도해 등 22개 국립공원의 614개 탐방로도 통제됐다.
마이삭이 부산을 지나간 후 원전 4기의 운영도 중단됐다.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는 "3일 새벽 운영 중이던 고리 3·4호기, 신고리 1·2호
현재 마이삭으로 인해 정전 피해를 겪은 가구는 모두 12만1949가구에 달하며 이 가운데 68.8%인 8만3959가구가 여전히 정전 상태다.
마이삭은 동해안으로 빠져나갔지만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여전히 강한 바람과 많은 비가 예상된다.
[최유빈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