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업무용 휴대전화에 대한 디지털포렌식이 법원의 결정으로 중단되자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 등 피해자 지원 단체들이 수사 재개를 촉구하는 탄원서를 법원에 제출했습니다.
박 전 시장의 업무용 휴대전화에 대한 수사는 지난 7월 30일 유족들의 '포렌식 절차에 대한 준항고 및 집행정지' 신청을 서울북부지법이 받아들이면서 일단 중단됐습니다.
경찰은 지난 7월 22일 박 전 시장의 업무용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등 디지털포렌식 절차에 착수했으나 유족 측은 이에 반대하며 사법기관 처분에 불복하는 준항고를 신청했습니다.
단체들은 오늘(3일) "담당 경찰서에 준항고 재판 관련 정보를 물었으나 어떤 정보도 제공할 수 없다는 답을 들었다"며 "피해자로서 의견을 개진하기 위해 지난달 28일 법원을 방문해 준항고 담당 재판부에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피해자 측 법률대리인 등으로 구성된 두 단체는 "박 전 시장의 생전 사회적 지위와 피해자의 고소 사실을 고려한다면 망인의 사망이 명백한 자살이라 해도 사망 경위가 명확하게 밝혀져야 할 공공의 이익이 있다"며 "피해자에게는 고소인으로서 사망 경위를 정확히 확인해야 할 개인의 이익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 단체는 이어 "업무용 휴대전화는 박 전 시장의 변사 경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 증
박 전 시장의 업무용 휴대전화는 법원의 포렌식 집행정지 결정에 따라 서울지방경찰청에 봉인 상태로 보관 중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