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은 오는 7일에, 의사협회는 14일에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전공의들은 중환자실과 수술실도 파업을 한다고 하는데, 시민단체는 국민건강을 볼모로 잡느냐며 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수아 기자입니다.
【 기자 】
시작은 전국 250개 수련병원 1만 6,000여 명 전공의들입니다.
오는 7일 하루 업무를 중단할 예정인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과 분만실 등 필수유지업무 인력까지 모두 동참하기로 했습니다.
14일에는 의협이 주도하는 총파업이 예고됐습니다.
의료계는 무조건적인 의대 증원이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김대하 / 대한의사협회 홍보이사
- "(일본이나 대만에서) 취약지 문제 같은 경우 의사를 증원하든지 복무 기간을 의무화하든지 이런 방식으로 이미 해결을 시도한 전례들이 있는데 다 실패했다는 거고요."
취약 지역의 의료 수가를 수도권보다 더 높게 책정하는 등 유인 정책만 제대로 해도 의료 공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여기에 맞서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더 단호한 대응을 요구했습니다.
매년 400명 증원도 충분치 않은데, 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한 파업 행위는 불법이라는 주장입니다.
▶ 인터뷰 : 김진현 / 경실련 보건의료위원장
- "(OECD 기준) 우리나라 의사가 18만 명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활동 의사 수는 10만 6천 명…. 격차가 7만 5천 명 정도 됩니다."
정부는 의료계와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응급실과 중환자실 진료 거부는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MBN뉴스 이수아입니다.
영상편집 : 양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