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담배가 17억갑 넘게 팔렸지만, 담뱃값 인상 전보다는 판매량이 줄어들었습니다.
'쥴' 등 폐쇄형 액상(CSV) 전자담배는 정부의 사용 중단 권고 이후 판매량이 급감했습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31일) 발표한 올해 상반기 담배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1∼6월 담배 판매량은 총 17억4천만갑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6억7천만갑)보다 3.8% 늘어난 규모로, 2016년 상반기 17억8천만갑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판매량입니다.
그러나 담뱃값 인상 이전인 2014년 상반기(20억4천만갑)과 비교하면 올해 상반기 판매량은 14.7% 줄어든 수치입니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담배의 제세부담금은 5조6천억원으로 작년 상반기(5조원)보다 10.7% 늘었습니다.
담뱃값 인상 이전인 2014년 상반기(3조2천억원)보다는 76.1% 증가했습니다. 담배 판매량은 줄었으나 담뱃세 인상으로 세금은 더 늘어난 것입니다.
올해 상반기 담배 종류별 판매량을 보면 궐련이 15억5천만갑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궐련은 지난해 상반기(14억7천만갑)보다 5.4% 늘었고, 담뱃값 인상 이전인 2014년 상반기(20억4천만갑)보다는 23.7% 줄었습니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1억8천만갑으로 작년 같은 기간 1억9천만갑보다 6.6% 감소했습니다.
CSV 전자담배는 120만포드(pod) 팔렸습니다. 작년 상반기 610만포드보다 80.3% 급감한 것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하반기 '쥴' 등 CSV 전자담배의 사용 중단을 권고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CSV 전자담배는 지난해 5월 출시된 후 그해 2분기
기화된 액상을 연초 고형물에 통과시켜 흡입하는 방식의 연초고형물 전자담배도 올해 상반기 60만갑 판매돼 지난해 7월 출시 후 6개월간 기록한 판매량 370만갑 대비 83.8% 줄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