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가 코로나19 장기화를 고려해 2학기 수업을 대면·비대면 방식을 혼합해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교과목 특성에 따라 수업운영 방식을 4개 안으로 분류해 대면 수업 일수에 차등을 둔다는 방침이다.
서울대의 2학기 수업 진행 기본 방향에 따르면 교양 강의는 이론수업은 비대면, 실험·실습·실기(어학 포함) 포함 수업은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해 실시한다. 전공수업은 대면·비대면 수업을 병행하되, 학과(부)·전공 단위에서 대면 수업 기간 결정할 수 있다. 또 개강 첫 주에 수강학생의 의견수렴을 거쳐 수업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교과목별로 특성에 맞게 A~D 네 가지 수업운영 방식을 적용한다. A군 과목은 전 기간 대면 수업을 하고 B군은 대면 5주 이상· 비대면 10주 미만으로 수업한다. C군 과목은 대면 5주 미만·비대면
교양 이론 수업은 D군, 전공 수업과 실험·실습 등이 포함된 교양 수업은 과목 특성에 맞게 A∼C군에 포함된다.
한편 2학기 평가방식은 대면 시험을 시행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과목별로 사전에 공지하기로 했다.
[신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