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립중앙박물관 /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20일부터 수도권의 박물관·미술관·도서관 등 공공시설이 입장 인원 제한 하에 다시 문을 엽니다.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진정되면서 정부가 이 지역에 적용했던 '강화된 방역조치'를 일부 완화하기로 한 데 따른 것입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이런 내용의 '수도권 방역 강화조치 조정방안'을 보고했습니다.
이번 조정안에 따라 20일부터 수도권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공공시설은 다시 문을 열 수 있게 됐습니다.
지난 5월 29일 이후 한 달 보름여 만입니다.
다만 좁은 공간에 다수 인원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장 인원을 제한하고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역학조사를 위한 전자출입명부를 도입해야 하며, 입장객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시설별로 보면 중앙박물관, 민속박물관, 역사박물관, 한글박물관, 현대미술관(과천, 서울, 덕수궁), 중앙도서관(중앙, 어린이청소년), 장애인도서관 등 10개 기관은 수용인원의 최대 30% 범위 안에서 입장을 허용합니다.
이 기관들은 예약제를 시행하고 시간당 이용 인원의 10% 범위 내에서 현장 신청을 받아 특정 시간에 많은 사람이 몰리지 않게 조정해야 합니다.
국립중앙극장, 국립국악원(본원), 정동극장, 예술의전당, 국립극단(명동예술극장, 백성희·장민호 극장, 판), 대학로·아르코 극장 등 8곳은 수용 인원을 50%로 제한해 기획공연과 민간대관을 할 수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도 일일 이용객을 최대 1천명까지 받을 수 있고 궁궐과 왕릉을 개방합니다.
공공시설과 달리 감염 위험이 높은 유흥주점, 노래연습장 등 '고위험시설' 12곳에 대한 집합제한 조치와 방역수칙 준수 의무화는 계속 유지됩니다.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대상이었지만 고위험시설에는 속하지 않는 PC방, 300인 미만 소형학원 등에 대한 방역수칙 의무화 여부는
정부와 지자체는 운영 재개 시설에 대해 안전한 시설 이용이 가능한지 방역 조치 상황을 상시 점검할 계획입니다.
이번 조정방안에 야구, 축구 등 프로스포츠의 관중 입장 허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향후 전국적인 환자 발생 추이를 고려해 다시 검토할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