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관련해 검찰, 경찰, 앞으로 꾸려질 민관합동조사단 이렇게 세 갈래의 수사와 조사가 이뤄질 건데요.
현장 기자 연결해서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김태일 기자 (서울시청 앞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먼저 성추행 의혹 관련해서 짚어보죠. 박 전 시장에게 성추행 관련 의혹을 가장 먼저 알린 인물이죠, 임순영 서울시 젠더 특보가 사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들리네요.
【 기자 】
임순영 젠더특보는 지난 13일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장례가 끝난 뒤부터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 않습니다.
저희도 프레스룸에서 전해 드렸지만, 임 특보는 피해 여성이 고소장을 접수하기 전에 이를 인지하고 박 전 시장에게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느냐"고 물었고, 그날 밤 열린 박 전 시장 주재 심야 회의에도 참석했던 인물입니다.
그래서 성추행 의혹을 풀 키맨으로도 지목됐는데요.
그런데 임 특보가 서울시에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임기가 내년 1월까지로 정해져 있지만, 박 전 시장에 의해 채용이 된 만큼 더이상 시청에 남을 이유가 없다고 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서울시의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지면 박 전 시장에게 성추행 관련 사실이 보고된 경위와 이후 열린 회의에서 어떤 내용이 오갔는지 파악하기 위해 임 특보에 대한 조사는 불가피한 상황인데요.
이 때문에 서울시가 곧바로 사표를 수리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 질문2 】
박 전 시장의 사망 경위를 조사하는 경찰 상황도 살펴보죠. 통신영장이 기각됐다는데 무슨 얘기죠?
【 기자 】
경찰은 현재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사망 당일 행적에 대해 수사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통화내역 확인을 위해 통신영장을 법원에 신청했는데 기각이 됐습니다.
법원은 기각 이유로 "강제수사의 필요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었는데요.
"사망 경위와 관련해 타살 등 범죄와 관련됐다는 점에 대한 소명이 없다"는 겁니다.
경찰은 박 전 시장이 사망한 장소에서 발견한 휴대전화 1대와 개인 명의로 개통된 다른 휴대전화 2대 등 모두 3대에 대한 통신영장을 신청한 바 있습니다.
일단 사망 장소에서 발견된 휴대전화에 대해서는 박 전 시장 실종 직후 발부된 영장을 통해 지난 8일에서 9일 사이 일부 통화내역은 확보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통화자 등을 상대로 사망 경위를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질문3 】
검찰 쪽도 알아보죠. 박 전 시장이 고소당한 직후 피소 사실이 유출됐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다고요?
【 기자 】
일부 시민단체가 청와대와 경찰청, 서울시 관계자들을 공무상 비밀누설죄로 수사해달라고 고발을 했습니다.
이에 대검찰청이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에 배당을 했는데요.
이와 더불어 미래통합당도 대검에 민갑룡 경찰청장과 경찰청, 청와대 관계자를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 고발했습니다.
대검은 이 고발건도 서울중앙지검에 배당했습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들 고발건을 형사2부에 배당했는데, 직접 수사할지, 아니면 경찰에 수사 지휘할지는 추후 결정할 예정입니다.
박 전 시장의 피소 사실은 서울경찰청에서 경찰청을 거쳐 지난 8일 저녁 청와대에 보고된 걸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경찰과 청와대는 모두 박 전 시장에게 피소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고, 서울시는 피소 사실 자체를 몰랐다는 입장인데요.
서울중앙지검에 고발건이 배당된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서울시청 앞에서 전해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