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 붉은 수돗물 사태로 홍역을 치렀던 인천에서 잇따라 수돗물 속 유충이 발견된 것을 두고 '비싼 돈을 주고도 배운 것이 없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천시는 당시 사태로 '상수도 혁신'을 강조하면서 상수도 관련 인프라에 투자를 해왔으나 이에 걸맞은 상수도 행정 전문화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입니다.
오늘(16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5월 시작돼 2개월 이상 지속한 붉은 수돗물 사태 이후 비슷한 상황이 재발하는 것을 막겠다며 시민이 참여하는 수질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수질 정보도 실시간으로 공개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유사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기 경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 관망 관리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인천시는 안정적인 상수도 공급 기반을 구축하겠다며 노후관 조기 교체·정비와 수질 유지를 위한 관 세척, 배수지 건설 등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도 지난 9일 최초 수돗물 유충 신고가 있은 지 5일이 지난 뒤에야 실태를 파악하고 후속 대책 등을 내놓으면서 또다시 늑장 대응을 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인천시는 전날인 15일에야 1년 전 붉은 수돗물 사태 당시 이뤄졌던 이토(관로 이물질 제거) 작업, 수돗물 소화전 방류, 배수지 청소 등을 다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는 붉은 수돗물 사태 때에도 발생 후 5일이 지난 뒤에야 뒤늦게 초기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고 사태 해결에 나섰으나 사태는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확산했습니다.
이번 수돗물 유충도 피해 호소 지역이 최초 인천 서구에서 다른 곳으로 확대되는 양상입니다.
인천 서구·계양·부평·강화 지역에서는 지난 9일부터 전날 오후 1시까지 수돗물 유충 관련 민원 101건이 제기됐으며 영종도에서도 피해 호소 사례가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인천시가 대형 수도 관련 인프라 확대에만 집중했을 뿐 인력 전문화나 본질적 쇄신을 하지 않은 것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백명수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은 "시민이 참여하는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조기 경보시스템도 구축했다고 했는데 최초 신고 후 5일이 지난 뒤에야 대응에 나선 이유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또 "붉은 수돗물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수돗물 유충도 또다시 인재"라며 "지난해 적수 사태 이후 뼈아픈 반성을 했다고 했는데 변한 것 없이 관성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붉은
인천시는 서구 공촌정수장의 관할 급수구역에 포함되는 26만1천세대, 63만5천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당시 사태로 피해 주민 보상 등에 투입된 혈세는 수백억 원 규모로 추산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