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 유행 가능성을 기정사실로 하고 '장기화' 뿐만 아니라 '재유행'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방역 체계 정비에 나섰다.
이는 대구에서처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재유행 상황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정부가 그만큼 최근의 수도권 집단감염 확산세를 예사롭지 않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현재 수도권에만 적용한 '강화된 방역조치'를 수도권 인근으로, 필요시 더 나아가 전국으로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8일 백브리핑에서 "코로나19는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소멸하지 않고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와 재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의 의료체계가 감당 가능한 신규 확진자 30∼50명 수준의 '장기화'와 함께 확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재유행' 두 가지를 다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는 산발적인 집단감염을 최대한 막는 억제 전략이 가장 중요하고, (만약) 재유행이 오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으로 장기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확진자 급증의 기미가 보이면 (사망자 최소화 등)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원을 분배하고, 또 이대로 계속 간다면 방역현장과 의료진의 피로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감소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아울러 수도권 확산세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수도권에만 적용되고 있는 강화된 방역조치를 수도권 인근 지역 또는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비상시에는 등교수업 중지까지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세는 한 달 넘게 꺾이지 않고 있다. 전날 발생한 신규 확진자 59명의 86%인 51명이 지역감염자인데 이 중 39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