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계속 확산하는 데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이른바 '깜깜이' 환자 증가세도 갈수록 뚜렷해져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깜깜이 환자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코로나19 확산세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역당국이 제때 확진자의 감염 장소와 접촉자를 파악해 내기 어려워 'n차 감염'이 전방위로 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활속 거리두기'로 방역체계를 전환한 이후 예상치 못한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방역당국이 수도권에 한해 지난달 29일부터 공공시설 운영 중단, 유흥주점·학원·PC방 포함 고위험시설 운영 자제 등 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에 준하는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1주일이 지나도록 집단감염의 불씨는 좀처럼 꺼지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더욱이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5∼6학년 약 135만명의 오늘(8일) 4차 등교수업을 끝으로 모든 학생이 학교에 가게 된 만큼 '교내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상황입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수도권 집단감염 여파로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그제(6일) 51명과 어제(7일) 57명 이틀 연속 50명대를 기록했습니다. 대부분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나왔습니다.
또 최근 2주간(5.24∼6.6)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도 39.6명을 기록, 이전 2주간(5.10∼5.23)의 23.2명보다 대폭 늘어났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깜깜이 환자 증가세는 당국의 고민을 더욱더 깊게 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7일까지 신고된 확진자 586명 가운데 감염경로가 불명확해 여전히 조사중인 사례는 8.7%에 달합니다. 생활속 거리두기 시행 전후로는 깜깜이 환자 비율이 5%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앞서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하면서 ▲ 1일 평균 신규환자 50명 미만 ▲ 감염경로 불명 사례 5% 미만 ▲ 방역망내 관리 비율 80% 이상 유지 등 3대 조건을 제시했는데 이중 2가지가 일시적이긴 하지만 깨진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사실 보건당국이 가장 싫어하는 말이 깜깜이 감염이다. 당국으로서는 깜깜이 감염이 취약 계층인 고령자나 기저질환자(지병이 있는 환자), 의료기관, 요양병원, 요양원 등으로 전파돼 고위험군의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신규 확진자 중 고위험군인 65살 이상 고령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초부터 시작된 이태원 클럽발(發) 감염자의 경우 주로 20∼30대 젊은층 환자가 많았으나 이달 들어 노인 대상 건강용품 방문판매업체인 서울 관악구 '리치웨이'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고령층 감염자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실제 전날 기준으로 상태가 위중하거나 중증 이상인 국내 환자 14명 중 8명이 60대 이상으로 파악됐습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언제, 어디서든 '큰 불'이 날 수 있다며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