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군부에 맞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이 된 5·18민주화 운동 40주년 기념식이 오늘(18일) 거행됐습니다.
기념식은 이날 오전 10시 광주 5·18 민주광장(옛 전남도청 앞)에서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1997년 5·18민주화운동이 정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그동안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기념식이 열렸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항쟁지인 5·18민주광장에서 개최됐습니다.
기념식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가 주요 인사, 5·18민주유공자 및 유족 등 400여명만이 참석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 5·18 기념식에 참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발포 명령자와 계엄군이 자행한 민간인 학살·헬기사격 등 국가폭력의 진상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이제라도 용기 내 진실을 고백한다면 용서와 화해의 길이 열릴 것"이라며 5·18 진상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 등도 기념식장을 찾았습니다.
문희상 국회의장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도 함께 5·18 영령을 추모했습니다.
기념식은 방송인 김제동의 사회로 도입 영상, 국민 의례, 경과보고, 편지낭독, 기념사, 기념공연,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서로 진행됐습니다.
'26년,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 등 5·18을 소재로 한 영화를 활용한 도입 영상으로 행사가 시작됐습니다.
김용택 시인이 40주년 기념식을 위해 지은 시 '바람이 일었던 곳'을 문흥식 5·18 구속부상자회장이 묵념사로 낭독했습니다.
경과보고는 5·18 유가족인 남녀 대학생이 낭독했습니다.
이어 5·18 당시 남편 임은택(사망 당시 36살) 씨를 잃은 부인 73살 최정희 씨가 남편을 찾아 헤맨 지 열흘 만에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상태로 발견했던 사연을 편지로 전했습니다.
기념공연에서는 작곡가 정재일과 영화감독 장민승이 5·18 40주년을 맞아 미래 세대에게 5·18의 역사적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뜻을 담아 제작한 23분 길이 영상 '내 정은 청산이오'가 최초로 공개됐습니다.
출연진과 풍물패가 무대와 옛 전남
문 대통령과 참석자들은 행사 마지막에 '님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습니다.
5·18 기념일은 1980년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던 5·18민주화운동의 민주·인권·평화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지난 1997년 5월 9일 제정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