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8일)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선 허망하게 남편을 잃은 73살 최정희 씨가 억울하게 희생된 남편 고(故) 임은택씨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임 씨의 이야기는 계엄군의 민간인 학살과 시신 암매장, 왜곡된 기록까지 5·18의 아픔을 함축적으로 보여줍니다.
부산 국제시장에서 만난 임 씨 부부는 1978년 담양으로 이주해 소를 파는 자영업을 하던 중 5·18을 맞았습니다.
계엄군이 광주를 봉쇄하기 위해 외곽지역으로 물러난 1980년 5월 21일 임 씨는 주변 사람들에게 "광주에서 군인들이 빠져나가 안전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마침 광주에서 받아야 할 돈도 있고, 상황도 궁금했던 임 씨는 일행 3명과 함께 픽업트럭을 타고 광주로 향했습니다.
광주로 들어가는 길목인 광주교도소 인근을 지나던 임 씨 일행은 어디선가 들려온 총소리에 겁을 먹고 차를 되돌렸지만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던 3공수여단은 무차별 총격을 가했습니다.
당시 계엄군은 이곳 이외에도 화순, 장성 등으로 통하는 다른 광주 외곽지역에서도 민간인이 타고 있는 미니버스에 집단 발포하거나 저수지에서 놀고 있던 어린아이를 사살하는 등 민간인 학살을 저질렀습니다.
임 씨와 고귀석 씨는 총에 맞아 움직이지 못하고, 몸을 가눌 수 있는 일행 2명만 차를 버리고 도망쳤습니다.
밤이 깊을 때까지 돌아오지 않은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 최 씨는 뜬눈으로 밤을 지샜습니다.
다음날 일찍 마을 어귀에 나간 최 씨는 남편과 함께 차를 타고 나간 두 사람에게서 청천벽력같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임 씨와 고 씨가 총에 맞았다는 얘기였습니다.
반쯤 정신이 나간 상태로 마을 사람들과 함께 남편을 찾아 나섰습니다.
임 씨는 교도소 인근 도로에서 처참한 형태로 남겨진 픽업 차량을 발견했습니다.
차량엔 핏자국이 선명했고, 인근 도랑에서 총구멍이 난 남편의 옷과 신발을 찾아냈습니다.
시신은 찾을 수 없어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분명 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 임 씨는 그때부터 병원이라는 병원은 다 찾아다녔습니다.
하지만 5월 항쟁이 끝날 때까지 남편은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남편의 생사를 걱정하며 마음 졸이던 최 씨는 5월 31일 광주시가 교도소 부근에 암매장된 시신을 발굴한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습니다.
그 자리에서 구두 한짝과 팬티만 입은 임 씨의 시신이 발견됐습니다.
계엄군이 총에 맞은 임 씨를 치료하지 않거나 수습하지 않고, 시신을 암매장한 셈이었습니다.
4발의 총상을 맞은 임 씨의 시신은 부검을 위해 조선대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그의 검시 기록에는 시민군이 지니고 있던 '카빈 소총'에 의한 총상으로 기록됐습니다.
3공수여단 작전 지도에 임 씨가 피격됐다는 기록과 달리 시민군에게 총을 맞은 것처럼 검시 기록을 조작한 것이었습니다.
검시가 끝난 임 씨의 시신을 수습한 아내 최 씨는 홀몸으로 아이들을 키워내야 했습니다.
남편이 장사하느라 여기저기 끌어온 돈을 갚으라는 독촉이 이어졌지만, 받아야 할 돈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나중에 유공자로 인정돼 나온 얼마 되지 않은 보상금도 빚을 갚고 나니 한 푼도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형사들의 감시를 피해 친정이 있는 부산으로 이사를 하였지만, 그곳에서도 감시가 이어져 친정 식구들까지 고통을 받게 되자 임 씨는 다시 담양으로 이사를 왔습니다.
그리고 홀로 국밥집을 시작해 14년을 운영하며 자식들을 키워냈습니다.
아버지 없이 잘 커 준 아이
최 씨는 "당신이 떠난지 40년이 지났지만 난 아직도 그날 일이 생생하다"며 "젊은 나이에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당신이 너무 불쌍하기만 하다"고 마음을 담은 편지를 전했습니다.
이어 "다시 만나는 날 삼남매 번듯하게 키웠다고 칭찬해달라"며 "우리 만나는 날까지 부디 편히 쉬시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