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명이 숨진 인도 LG화학 공장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현지에 입원 중인 주민 20여명의 상태가 위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장이 있는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의 당국 관계자는 사고 이틀째를 맞은 오늘(8일) "어린이 10명 포함, 22명의 상태가 심각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 때문에 사망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비사카파트남의 LG화학 계열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에서는 어제(7일) 오전 스티렌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 인근 주민 11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주정부는 공장 인근 주민 1만여명을 대피시켰고, 5천여명이 눈 따가움, 호흡곤란 증세 등을 호소했습니다.
이후 800∼1천명가량이 입원했다가 대부분 퇴원, 현재 병원에는 300여명이 남은 상태입니다.
이와 관련해 YS 자간모한 레디 안드라프라데시 주총리는 사고 직후 현지로 달려가 철저한 조사를 지시했습니다.
레디 주총리는 유가족에게 각각 1천만루피(약 1억6천만원)의 위로금을 지급하고 부상자 지원에도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연방정부는 국가재난대응군(NDRF) 소속 화생방 대응 전문팀을 현장에 파견했습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지시로 파견된 이들은 현장에서 가스 누출 통제, 주민 구조 등의 임무를 소화하게 됩니다.
사고와 관련해 공장 경영진의 책임을 물으려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레디 주총리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이제 LG폴리머스가 공장의 과실이 없었다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안드라프라데시주 산업장관인 메카파티 고우탐 레디는 한발 더 나아가 "LG폴리머스 측의 부주의가 가스 누출로 이어졌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연방정부 환경부 관계자는 "국가재난대응국(NDMA) 조사 결과 환경 규정 위반 사실이 적발될 경우 공장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지 경찰도 사고원인 등 조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독성물질 관리 소홀 등의 혐의로 LG폴리머스 측을 입건한 상태입니다.
한편, LG화학은 오늘(8일) 해당 공장에서 가스 2차 누출이 발생했다는
LG화학은 "2차 누출이 된 것은 아니며 탱크 내 온도가 상승할 우려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경찰에 주민 대피를 요청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로이터는 당국자를 인용해 이날 이른 시간부터 이 공장에서 유독가스가 다시 누출되기 시작해 더 광범위한 대피를 촉발했다고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