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온 국민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일상 복귀를 무한히 미룰 순 없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 체계로 '연착륙'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침이 더 촘촘하고 세밀하게 제시돼야 한다는 게 감염병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오늘(31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가 집회나 종교행사 자제 등 사회활동을 제한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29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처음 언급했습니다.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909명으로 최정점에 이르렀을 때입니다.
지난 22일부터는 전국의 종교 시설과 실내 체육시설, 유흥시설에도 운영 중단을 권고하고 국민들에게는 가급적 집에 머무르라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 중입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내달 5일 종료될 예정이지만 이 기간이 끝나도 일상으로 완전히 복귀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
전문가들은 일상생활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접목한 생활방역 지침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정부도 사회적 합의기구를 구성해 생활방역 지침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지침 마련이 늦었다는 평가입니다.
정기석 한림대 호흡기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생활방역 지침을 아직도 만들고 있는 건 문제"라며 "국민들도 지침을 숙지하고 준비할 시간이 필요한데 계속 사회적 거리두기만 강조하니 피로감이 쌓이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지금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1∼2주 안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의미 있는 수준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시점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생활방역 지침은 교과서적 내용이 아닌 사람들이 실제 지킬 수 있는 수준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했습니다. 예컨대 마스크를 언제 착용하고 언제 벗어야 하는지, 기업이나 학교에서의 동선은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등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정부가 내놓은 지침을 보면 'PC방·클럽 등에서 1∼2m 거리두기', '출·퇴근 후 바로 집으로 돌아가기' 등 지키기 어렵거나 원론적인 내용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마스크 착용을 강조해야 하는 건 맞지만 식당에서는 어떻게 할 것인지, 식탁을 대각선으로 배치하거나 유리 칸막이를 높이는 등의 지침을 고민해봐야 한다"며 "종교시설에서는 함께 식사하지 않도록 하는 등 사람들 간 접촉을 줄일 수 있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윤영호 서울의대 교수(한국건강학회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