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국인 유학생에게만 적용했던 코로나19 대응 보호·관리 방안을 일본, 이탈리아, 이란 등지 출신의 유학생들에게도 확대해 적용하기로 했다. 이들 국가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학생들은 2주간 기숙사·원룸에서 자율 격리 생활을 해야 한다.
13일 교육부는 코로나19 유학생 보호·관리 대상을 기존 중국·마카오·홍콩 출신 유학생에서 일본·이탈리아·이란·프랑스·스페인·독일·영국·네덜란드 등 8개국 유학생으로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세계 전역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정부가 특별입국절차 적용 대상 국가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온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중국과 홍콩·마카오를 특별입국절차 적용 대상 국가로 지정했다. 이달 9일에는 일본을, 12일엔 이탈리아·이란을 대상국으로 지정했다. 오는 15일부터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 등 5개국도 여기에 포함된다.
교육부는 이들 국가 출신의 유학생들에게는 입국 전 상태라면 휴학을 권고하되, 입국 이후엔 14일간 등교 중지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이들 유학생은 대학 기숙사나 원룸 등에서 자율적으로 격리하면서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야 한다. 만약 연락이 끊길 시에는 대학이 지자체와 협업해 소재지 파악에 나선다.
교육부에 따르면 일본·이탈리아·프랑스 등 8개국 출신 유학생은 2019년 4월 기준 7976명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이다. 일본 출신이 4392명으로 가장 많았다. 프랑스 1442명, 독일 814명, 영국 295명, 이란 273명, 네덜란드 270명, 이탈리아 245명, 스페인 245명 등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해당 유학생들에 대한 입국 관련 현황조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자국에서 체류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중국 입국 유학생에 대한 보호·관리 경험을 토대로 코로나19의 대학가 확산 차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