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5부제' 시행에 따른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서울 자치구들이 각자 실정에 맞는 보완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약국에 언제 들어올지도 모르는 마스크를 사려고 장시간 기다리는 주민들이 없도록 판매 시간을 통일하는가 하면, 자체 보유 물량을 주민들과 취약계층에 나눠주기도 합니다.
서울 서초구(구청장 조은희)는 서초구약사회와 협의해 관내 225개 약국이 매일 오전 9시부터 마스크를 판매할 수 있도록 구청이 보유한 마스크 5만6천250매(약국당 250매)를 미리 약국에 배부했습니다.
이는 공적 마스크 입고 시간이 일정치 않은 탓에 일선 약국의 마스크 판매 개시 시간이 오락가락하고, 주민들이 헛걸음을 하게 됨으로써 빚어질 수 있는 혼선과 불편을 막기 위한 아이디어입니다.
약국들에 여유분을 구청이 빌려줌으로써 다음날 미리 공지된 시간에 약국들이 마스크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나중에 공적 마스크 물량이 약국에 들어오면 프로그램 입력이나 확인 등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은경 서초구약사회 회장은 "약사 입장에서도 손님들에게 마스크를 몇시에 팔 것인지 사전에 고지하고 싶었다"며 "하루 분량의 마스크 여유가 있으면 가능했는데 이 문제를 서초구에서 해결해줬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초구는 오전 9시에 개점하지 않는 약국들은 상황에 맞게 마스크 판매 시간을 정해 미리 공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민들의 혼선을 줄일 예정입니다. 또 공적 마스크 판매로 업무가 늘어난 약국 37곳에 인력을 지원해 시스템 입력과 안내를 돕도록 했습니다.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내일(12일)까지 신청을 받아 관내 임신 여성과 100일 이하 신생아(2019년 12월 1일 이후 출생)를 출산한 산모 등 2천500명에게 간호사들이 직접 찾아가 마스크를 배부하고, 임산부가 원할 경우 건강상담도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코로나19에 취약한 계층임에도 장시간 줄을 서서 마스크를 살 수 없는 임산부들을 감염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마스크 배부는 접수 순서대로 13∼15일에 이뤄지며, 가구당 성인용 3매와 소아용 2매가 지급됩니다.
성동구는 이에 앞서 5일과 9일 등 두 차례로 나눠 동주민센터에서 세대 구성원당 1매씩 마스크를 지급했습니다.
구로구(구청장 이성)는 그제(9일)부터 어제(10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혼자 사는 어르신, 연금을 지급받는 장애인, 보건소 등록 임산부 등 취약계층 1만6천990명에게 인당 3매씩 마스크를 나눠 줬습니다.
양천구(구청장 김수영)는 양천구약사회와 협의해 관내 약국들의 공적 물량 마스크 판매 시간을 평일에는 오후 6시로 통일토록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