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16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4일부터 감염 경로, 환자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는 중이다.
16번째 확진자는 지난달 19일 태국 여행을 마치고 무안공항으로 귀국한 뒤 전남대병원으로 이송된 이달 3일까지 16일간 격리되지 않았다. 귀국행 비행기에 승무원 6명, 승객 166명이 동승했다.
16번째 확진자의 거주지인 광주에서는 21세기 병원에서 통원치료를 하며 일상생활을 한 사실로 미뤄 병원 의료진을 포함해 접촉자 수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팀과 시는 병원 CCTV를 분석하는 등 동선을 파악하고 있지만 아직 조사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평형 광주시 보건복지국장은 "4일 오후 1시부터 질병관리본부 대응팀에 시·구 팀이 합류해 상당한 작업을 한 것으로 안다"며 "접촉자 정보는 각 자치구 보건소로 넘겨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접촉자를 확인해 격리 등이 즉각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상황인데도 정보가 없는 탓에 시민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진다.
16번째 환자가 치료를 받은 21세기병원 의료진의 거주지, 그 자녀가 다니는 학교와 학원 등과 관련한 근거없는 소문도 떠돌고 있다.
한 학부모는 "의료진의 자녀랑 같은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을 학원에서 집으로 돌려보냈다는 말도 들었다"며 "확인되지 않은 SNS가 아니라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줬으면
이에 광주시 관계자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역학 조사관 8명이 어제 내려와 현장 조사를 시작했고, 빠르면 하루 이틀 안에 동선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질병관리본부와 협의해 시민들에게 신속히 정보를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