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다음날인 26일 심야에 동두천 미군기지인 캠프 케이시에서 '공습경보' 비상 사이렌이 실수로 잘못 울리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곧이어 오경보로 밝혀지긴 했지만 북한이 '성탄절 선물'을 공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등 도발 우려가 고조돼온 가운데 일어난 일이어서 잠시나마 부대원들이 '패닉'에 빠졌다가 가슴을 끌어내리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성탄절 자체는 북한이 공언한 '선물' 없이 지나갔지만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 경계태세가 고조된 상황이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시간으로 27일(어제) '북한 근처의 미군 기지에서 실수로 취침나팔 대신 비상경보 사이렌이 잘못 울렸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북한이 달갑지 않은 성탄절 선물을 위협해온 가운데 한국의 미군기지에서 비상 사이렌이 잘못 울려 잠깐 기지에 극심한 공포를 불러일으켰다"고 당국자들 발로 보도했습니다.
제2보병사단 대변인인 마틴 크라이튼 중령은 "당초 오후 10시께 평소와 마찬가지로 군 장례식에서 연주되는 구슬픈 곡조의 나팔수의 노래가 취침 나팔로 오후 10시께 울려 퍼지게 돼 있었다"며 '인적 오류'(human error)로 비상 사이렌이 캠프 케이시의 차가운 공기 사이로 퍼져나갔다고 밝혔다고 WP는 전했습니다.
이번에 잘못 울린 사이렌은 흔히 공습경보 사이렌으로 불리는 것으로, 장병들에게 경계태세 절차를 시작하라는 경고 사인 역할을 한다고 크라이튼 중령은 전했다고 WP가 보도했습니다.
미 CNN방송과 미군 기관지 성조지 등에 따르면 크라이튼 중령은 성명에서 "기계를 조작한 이가 잘못된 버튼을 눌렀다는 것을 즉각 확인한 뒤 오경보였다는 사실을 캠프 케이시 내 부대들에 공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즉각 실수라는 사실을 통보받았으며 재발 방지를 위한 통제 조치들이 이뤄졌다고 크라이튼 중령은 전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비상 사이렌이 잘못 울린 시간부터 실수라는 것이 공지될 때까지 정확히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됐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WP가 보도했습니다.
캠프 케이시는 북한과의 접경에서 가장 가까운 미군 부대로, 북한의 공격이 있을 경우 미사일 타격의 주 타깃이 될 수 있는 곳이라고 WP는 전했습니다. 동두천 캠프 케이시의 경우 일부 폐쇄된 지역에 대해 반환 절차가 진행 중인 상황입니다.
이 '실수'로 기지 내 군인들이 당황했으며, 오경보였다는 게 알려지기 전까지 일부는 군복 차림으로 달려 나오기도 했다고 WP는 보도했습니다.
CNN에 따르면 "케이시에 있는 누군가가 취침나팔 대신 출정 버튼을 누르기로 결심했다. 그것은 허위 경보였지만 전 부대가 동요했다", "(경보 사이렌에) 사람들이 군복 차림으
CNN은 "성탄절이 선물 없이 지나가면서 미 당국자들은 북한이 왜 무기 실험을 하지 않기로 한 건지에 대해 어리둥절한 상태였다"고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