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 소령은 우리나라 최고의 외상 전문의로 통하는 아주대병원 외상센터 이국종 교수의 제자로 지난 3월 이 교수 곁을 떠나 국군수도병원 외상센터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이 교수와 함께 지난 2017년 공동경비구역(JSA)으로 귀순하다가 총상을 입은 북한 군인을 수술한 바 있다.
지난 6일 오후 강원도 춘천의 항공부대에 복무 중인 김모(21) 상병은 후진하던 유조 차량이 후미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왼팔로 막다가 팔 전체가 차량 사이에 끼이는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김 상병의 왼팔은 뼈, 근육, 혈관이 모두 끊어졌다.
의료종합상황센터에 사고가 접수된 후 센터는 헬기를 이용해 국군수도병원에 김 상병을 긴급 후송했다. 김 상병이 헬기를 타고 국군수도병원에 도착한 시간은 사고 발생 1시간여가 지난 후였다.
이 소령은 사고 당시 김 상병의 심각한 상황에 대해 "차량 사이에 낀 왼팔 상완부(윗팔뼈)가 완전히 짓눌리면서 팔 내부의 뼈와 혈관은 모두 끓어지고, 피부만 붙어 있었던 셈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또 "차량 사이에 낀 왼팔 상완부(윗팔뼈)가 완전히 짓눌리면서 동맥 1개와 정맥 2개가 각각 10㎝가량이나 끊어져 있었다. 심지어 근육이 부풀어 오르는 '구획증후군'이 동반돼 맨눈으로 손상 부위를 찾기도 힘들 정도였다."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처럼 외상이 심한 환자의 팔을 이어 붙인 경우가 없어, 환자에 대한 의료진의 고민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끊어진 혈관들을 6시간 내로 이어 붙여야 괴사를 막을 수 있었지만, 혈관이 끊어진 끝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혈관 3개를 복구하기엔 시간이 촉박했기 때문이다.
이 소령은 긴박한 상황 속에서 미군 의료진과 함께했던 학회 때 배운 '수액 줄'을 떠올렸다. 수액 줄을 혈관에 넣어두면 혈관을 이어붙이는 수술이 끝날 때까지 임시로 혈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의료진은 즉시 손목 요골동맥(위팔동맥에서 갈라져 팔 아래쪽의 바깥쪽 부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을 절개한 틈으로 가느다란 관(카테터)을 넣어 끊어진 혈관의 끝을 찾고, 그 사이를 수액 줄로 이어붙였다.
그러는 사이 다른 의료진은 김 상병의 오른쪽 허벅지에서 '대복제 정맥'(안쪽 발목에서 서혜부까지 이어지는 혈관)을 30㎝가량 가져와 끊어진 혈관
치료를 주도한 이 소령은 "신속한 환자 이송과 수술에 참여한 여러 전문의의 빠른 판단과 조치가 어우러져 김 상병의 왼팔을 이어붙일 수 있었다"면서 "이국종 교수의 제자로 함께 일 하면서 배운 게 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서주희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