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왼쪽부터) 차량 전면용 실버마크와 차량 후면용 실버마크 [사진 = 도로교통공단] |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14~2018년 약 50%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843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3781명)의 22%를 차지했다.
이에 올해 1월부터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고령운전자의 면허증 갱신주기를 단축하고, 인지능력검사도 강화했다. 또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스스로 운전대를 놓는 어르신들도 늘고 있다.
올 3분기(1~9월, 경찰청 자료 참고)까지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한 고령운전자(만 65세 이상)는 4만3449명이다. 이는 작년(1~12월) 1만1913명보다 약 365% 증가한 수치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이에 앞서 고령운전자에 대한 양보와 배려 운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중인 '스마일 실버' 배포도 이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이를 제작·배포하려는 전국의 지자체가 늘고 있으며, 조례 개정 등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고령운전자에 대한 배려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고 도로교통공단 측은 설명했다.
'스마일 실버'는 차량의 앞쪽에 부착하는 '스마일 실버 마크'와 차량 뒤쪽에 부착하는 '스마일 실버 캐릭터' 두 종류다. '스마일 실버 마크'는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안전한 운전문화를 선도하는 교통관련 기관이 손을 맞잡는 모습을 정삼각형 모양으로 형상화했다. 이는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가 균형을 잡아 배려와 양보를 통해 안전한 운전문화를 만들어 나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빨간색은 양보와 배려·소통을 통해 느끼는 서로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상징하고, 파란색은 고령운전자를 배려해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선진교통문화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녹색은 모든 운전자가 함께 행복하고 안전한 운전문화를 조성하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스마일 실버 캐릭터'는 남녀 고령자 모습과 '한 번 더 배려와 양보를 한다'는 의미의 쉼표를 이용해 모든 운전자의 적극적인 양보와 배려·소통을 통해 느끼는 서로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표현했다.
윤종기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