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사실상 검찰에 경고장을 보낸 뒤 주말을 맞았는데, 아무래도 조국 장관을 향한 검찰 수사가 영향을 받을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검찰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 질문1 】
이혁근 기자!
검찰의 속마음이 편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사정이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무엇보다도 검찰 내부에서는 '불문율'이 깨졌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대통령이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게 일종의 관행이었다는 건데요.
한 달 전 조 장관 관련 첫 압수수색 때만 해도 청와대는 입장을 낼 수도 없고, 특별한 입장도 없다는 관점이었습니다.
하지만, 어제 대통령이 검찰의 조국 수사를 직접 겨냥한 메시지를 전하면서 상황은 180도 달라졌습니다.
검찰은 대통령 메시지에 대해 "인권 존중을 바탕으로 법절차에 따라 엄정히 수사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는데요.
대통령에 대한 반발로 비치지 않으면서 원칙대로 수사하겠다는 속내가 읽히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대통령의 메시지가 사실상 경고인 만큼 내심 신경을 쓰면서 '다지기 수사'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 질문2 】
조 장관 부인인 정경심 교수의 소환이 조만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 일정이나 방식에 대통령 메시지가 영향을 미칠까요?
【 기자 】
네, 주말에도 정경심 교수가 소환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오늘(28일) 서울중앙지검 앞은 취재진들로 붐볐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곳에 정 교수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는데요.
대통령이 메시지를 통해 '수사 관행 개혁'을 언급한 만큼 검찰은 이 부분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1층 출입문으로 정경심 교수가 들어올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른 공직자나 유명인들과 마찬가지로 사실상 공개소환을 하겠다는 건데요.
현재 정경심 교수 소환 날짜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해지더라도 소환 날짜나 시간을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공개 소환 시 불필요한 충돌이나 안전사고에 유의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공을 들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11시간가량 진행된 조국 장관 자택 압수수색을 놓고도 여권에서 말이 많았던 만큼, 정 교수를 소환하더라도 충분한 사전 준비 뒤에 단 한 번의 조사만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검찰은 조사할 내용이 많아 가능한 정 교수를 이른 아침에 부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MBN뉴스 이혁근입니다. [ root@mbn.co.kr ]
현장중계 : 조정묵 PD
영상취재 : 최영구 기자
영상편집 : 박찬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