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근 "위안부 매춘", "전쟁나면 여학생은 위안부" 등 대학교수들의 막말이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최근 대학교수들의 연이은 차별·혐오 발언이이어지면서 자성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난 19일 강의에서 "(위안부) 직접적인 가해자는 일본(정부)이 아니다"라며 "(위안부는) 매춘의 일종"이라고 말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연세대는 강좌운영 적절성 여부에 대해 윤리인권위원회의 공식 조사를 개시하고 해당 강의를 중단했다.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도 지난 23일 허위사실유포·명예훼손·성희롱 등 혐의로 류 교수를 서울서부지검에 고발했다. 연세대학교 총학생회는 SNS를 통해 "류석춘 교수의 수업 중 있었던 발언들을 강력하게 규탄하며, 가능한 모든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라면서 해당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추가 제보를 받고 있다. 일부 연세대 학생들은 류 교수 연구실 출입문에 '수업을 거부한다', '당신을 원하지 않는다' 등의 류 교수를 규탄하는 내용의 메모지를 붙이기도 했다.
이에 앞서 부산 동의대의 한 교수는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전쟁이 나면 여자는 제2의 위안부가 되고 남자는 총알받이가 된다", "방학이면 여자들이 일본에 가서 몸을 판다"는 등의 여성 비하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결국 교단을 떠났다. 동의대는 의혹이 계속되자 진상조사위원회를 열었고 교수의 사직서를 수리한 것.
전북대 한 교수도 학생들에게 "가끔 유흥주점을 가는데 화류계에 여대생들이 많이 다닌다", "와이프가 본인의 195번째 여자다"와 같은 발언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알려졌다. 과목은 폐강됐고, 교수는 사과문을 올렸지만 '세상에 다양한 관점이 있지만 내 입장에서만 생각했다'는 내용으로 누리꾼들로부터 빈축을 샀다.
이 같은 교수들의 잇따른 '설화'에 대해 "변화에 둔감한 일부 교수들의 필연적인 일탈"이라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누리꾼 A 씨는 "사회에서 가장 변화가 늦은 집단이 교수들"이라며 "학교 내에서 안정적이고 권력층인 대학교수는 사회 분위기에 민감할 필요가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학생 이 모 씨(23)도 "교수와 학생은 어쩔 수 없는 갑을관계"라면서 "관계에서 파생된 교수의 권위의식이 막말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예전부터 빈번했던 교수들의 막말이 사람들의 인식이 성숙해지면서 이제야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견해도 있다.
미투운동 등을 기점으로 '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빠르게 변화했고, 학생들이 SNS를 활발하게 이용하면서 언제라도 문제를 공론화할 수 있게 됐다는 것. 대학생 김 모 씨(26)는 "1학년 때만 해도 교수의 발언이 불편해도 참고 넘어가는 분위기였다"라면서 "하지만 요즘 대학생들은 참지 않고 SNS 공간에 문제를 제기한다"라고 지적했다.
김용석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구회 이사장은 매경닷컴과의 통화에서 "교수가 자기
[디지털뉴스국 유정화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