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행정안전부는 17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10월 16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그 정신을 기념하고자 최초 발생일인 10월 16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40주년인 올해부터 정부 주관으로 기념행사를 진행한다. 이전까지는 부산과 창원 지역의 부마항쟁 기념사업 관련 단체들이 개별적으로 기념식을 열었다.
부마민주항쟁은 유신 헌법, 긴급조치 발동 등에 저항해 1979년 10월 16일부터 닷새간 부산과 마산(현 창원시 마산합포구·회원구)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을 말한다.
10월 16일 부산에서 5000여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했고, 여기에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확대됐다.
당시 정부는 계엄령과 위수령을 내려 15
부마항쟁은 기간은 짧았지만, 5.18광주민주화운동과 6.10민주항쟁으로 그 정신이 이어진 것으로 평가돼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과 함께 한국 현대사의 4대 민주항쟁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장수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