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조 장관의 딸 조 모 씨를 소환 조사했습니다.
오늘(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고형곤 부장검사)는 전날 조 씨를 피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허위·과장 의혹이 제기된 각종 인턴 증명서 발급 과정, 고려대 생명과학대학과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시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물었습니다.
조 씨는 한영외고에 재학 중이던 2007년 7∼8월 2주간 단국대 의과학연구소에서 인턴을 한 뒤 다음해 12월 의학논문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논문은 2010학년도 고려대 입시에 제출한 자기소개서에 기재됐습니다.
검찰은 학부생 시절 한국과학기술원(KIST) 인턴십과 모친 정경심 교수가 재직 중인 동양대에서 받은 표창장 등이 부산대 의전원 입시에 어떻게 활용됐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조 씨는 2015학년도 부산대 입시 때 제출한 자기소개서에 "한국과학기술원 분자인식연구센터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3주간 인턴으로 근무"했다며 "실험 준비 및 영문 논문자료 분석 등을 수행"했다고 적었습니다.
그러나 인턴 기간이 케냐 의료봉사와 일부 겹치고, KIST 출입기록에는 3일간만 오간 것으로 돼 있어 스펙을 부풀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조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딸이 KIST 인턴 책임자에게 메일로 양해를 구하고 케냐에 갔다. 출입증을 태그하지 않고 같이 간 사람들과 함께 들어간 적도 있다고 한다"고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검찰은 조 씨의 논문과 인턴 활동 등이 고려대와 부산대 입시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당시 입학전형에 참여한 두 대학 관계자들을 줄줄이 불러 조사 중입니다.
검찰은 각종 스펙 부풀리기 의혹의 배경에 있는 정 교수에 대한 직접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소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단국대 인턴은 당시 한영외고에 다니는 자녀를 둔 장영표 교수가 주관한 '학부형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진행됐습니다. KIST 인턴은 정
정 교수는 동양대 총장 명의 표창장을 위조한 혐의(사문서위조)로 지난 6일 재판에 넘겨진 상태입니다. 자신과 두 자녀 등 일가의 출자금 14억 원만으로 구성된 '가족 사모펀드' 의혹과 관련해서도 핵심 피의자인 만큼 두 차례 이상 소환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