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 숫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2017년 이후 민주노총 조합원이 약 22만명 급증해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등 친노동정책이 노동계 세력을 불리는데 일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은 10일 중구 민주노총에서 조직확대 현황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4월 말 기준으로 민주노총 조합원수가101만484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99만5861명)보다 증가한 것으로 한국노총(103만6236명, 지난해 12월 기준)에 비해선 약간 적다. 민주노총은 "촛불 항쟁 이후 기대만큼 변하지 않는 현장을 바꾸기 위한 열망이 노조 조직화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17년 이후 지난 4월까지 늘어난 민주노총 조합원은 21만7971명에 달한다. 이들 중 약 40%는 공공부문에서 유입됐다.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민주노총은 이날 발표에서 비정규직 조합원이 지난해 말 기준 32만8105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귀족노조' 프레임(정규직만 대변하는 기득권화된 노동계)을 반박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각종 쟁의와 집회를 통해 공공부문 사측과 비정규직 간 갈등만 증폭시키고, 정작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드는 광주형일자리와 같은 모델은 거부하고 있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