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관심은 조국 후보자의 거취 문제입니다.
부인의 기소에 부담을 느껴 자진 사퇴할 것인지, 아니면 문재인 대통령의 임명을 받아 부인의 기소와 거리두기를 하면서 법무장관직을 수행할지 선택지가 남았습니다.
고정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검찰이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부인을 사문서 위조 혐의로 전격 기소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직후 취재진과 마주한 조 후보자.
▶ 인터뷰 : 조 국 / 법무부장관 후보자
- "피의자 소환 없이 기소가 이뤄진 점에는 저로서는 조금 아쉬운 마음이 있습니다. 물론 검찰의 결정에는 나름 이유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고요."
청문회가 끝난 직후 부인 기소 소식이 전해진 터라 조 후보자 역시 깊은 고심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명 여부에 달려 있지만, 조 후보자가 만약 법무 장관이 된다면 검찰 수사를 지휘하는 법무 장관의 부인이 검찰 수사를 받는 사상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조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자신이 장관이 돼도, 가족 관련 수사에는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 인터뷰 : 조 국 / 법무부장관 후보자(어제)
- "가족 관련 수사에 대해서는 일절 보고를 받지 않고 당연히 일절 지시도 없을 것입니다."
전격적인 부인 기소에 따른 압박으로 자진 사퇴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단순 의혹 수준을 넘어 검찰 기소가 이뤄진 만큼 더 이상 조 후보자가 버티기 어렵다는 분석 때문입니다.
조 후보자가 어떤 운명을 맞을지는 문 대통령의 최종 결심과 여야의 극한 대립, 그리고 검찰과 청와대의 정면충돌 등 여러 변수가 뒤섞여 있어 좀처럼 예측이 어렵다는 분석입니다.
MBN뉴스 고정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