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간 서울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연 평균 750여명이 일반고로 전학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에도 서울의 특성화고 학생 700여명이 일반고로 전학을 선택했다. 갈수록 낮아지는 고졸 취업률에 대학 진학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들이 늘어난 까닭으로 분석된다.
1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특성화고 학생 708명이 '진로변경전학제도'를 통해 일반고로 옮겨갔다.
진로변경전학은 한 해 두 번 실시되는데 올해 3월 2학년생 전학 기간에 245명(34.6%)이 전학한 데 이어 지난달 21~27일 1학년생 전학 기간에 463명(65.4%)이 일반고로 전학했다.
특성화고에서 일반고로 전학한 학생은 최근 5년간 연평균 750여명이다. 서울 특성화고 70개교 학교당 평균 학생이 지난해 4월 기준 627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잖은 숫자다. 매년 1개 학교 전체 학생수가 넘는 특성화고생들이 일반고로 옮겨가는 셈이다. 2018년에는 777명, 2017년에는 947명, 2016년에는 710명, 2015년에는 615명이 특성화고를 떠나 일반고에 갔다.
반대로 일반고에서 특성화고로 진로변경전학을 한 학생은 2018년 145명, 2017년 146명, 2016년 139명, 2015년 143명 등 한 해 150명에 못 미친다. 교육청을 거치지 않고 개별 학교와 접촉해 옮기는 학생까지 반영하면 실제 일반고에서 특성화고로 전학한 학생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반대의 경우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다.
학생들이 특성화고를 떠나는 이유로는 낮은 취업률이다. 고졸 취업이 갈수록 힘들어지면서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교육계에서는 특성화고가 일반고와 비교적 취업률이 높은 마이스터고 사이에 끼인 처지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난해 전국 마이스터고 취업률 평균은 91.2%였는데 마이스터고에 특성화고를 합친 직업계고 취업률은 67.1%로 떨어진다.
특성화고가 일반고와 대학진학을 놓고 경쟁할 것이 아니라면 생존을 위해 명칭에
서울시교육청은 아예 특성화고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교육청은 최근 덕수상고가 모태인 덕수고 특성화 계열을 2023년까지만 운영한 뒤 폐지하고 경기상고에 흡수시키는 방안을 확정했으며 추가 통폐합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효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