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 추이 / 사진=갤럽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2주 만에 2%포인트 하락해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오늘(23일) 나왔습니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전국 유권자 1천2명을 대상으로 조사(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2주 전보다 2%포인트 하락한 45%로 나타났습니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6%포인트 오른 49%로 집계됐습니다.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오차범위 내인 4%포인트 높았습니다.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선 것은 지난 5월 셋째주 이후 14주만입니다. 당시 부정 평가와 긍정 평가는 각각 47%, 44%였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의 긍정 평가는 42%였고, 30대와 40대는 63%와 52%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50대는 39%, 60대 이상은 35%로 상대적으로 낮은 국정 지지도를 보였습니다.
지지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81%), 정의당 지지층(67%)에서는 긍정 평가가 높은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92%에 달했습니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경우에도 부정 평가(67%)가 긍정 평가(18%)보다 높았습니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를 잘함'(31%), '최선을 다함'(10%), '북한과의 관계 개선'(10%) 등이 거론됐습니다.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28%), '북한 관계 치중'(12%), '인사(人事) 문제'(9%) 등이 주된 부정 평가 이유로 꼽혔습니다.
한국갤럽 측은 "대통령의 직무 부정 평가에서 오랜만에 인사 문제 지적이 상위권에 올랐다"며 "특히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국 후보자에 대한 각종 논란 및 의혹 제기가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음을 시
정당별 지지도의 경우 더불어민주당은 41%로 2주 전과 같은 수치를 기록했고, 자유한국당은 21%로 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정의당 7%, 바른미래당 6%, 민주평화당 1%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