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 규제에 반발해 지방에서도 일본 전범 기업 제품에 대한 구매 제한 조례와 불매 운동이 격화하고 있다.
황병직 경북도의회 의원(무소속)은 일본 전범 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의계약 체결을 제한하는 조례안을 오는 9월 도의회 임시회에서 발의할 예정이다. 전범 기업은 경북도민을 강제 동원해 생명, 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주거나 전범 기업의 자본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규정했다.
울산시의회도 일본 제품 수의계약 제한 조례를 마련키로 하고 최근 시민 간담회를 열었다. 경남도의회는 도청과 학교 등 공공기관이 일본 전범 기업 제품 구매를 제한하는 조례를 추진한다. 이 조례는 한국을 백색국가에 제외한 일본의 경제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 중 하나이다. 일본 전범 기업 제품에 대한 구매를 제한하는 조례는 전국 18개 광역단체에서 동시 발의 형태로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일본 전범 기업 제품에 인식표를 붙이는 등 학생 스스로 전범 기업 제품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경기도교육청 일본 전범 기업 제품 표시에 관한 조례'를 다시 추진한다. 경기도의회는 올해 3월 조례 제정을 추진했으나 사회적 합의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의회 상정을 보류했다.
충남 논산시는 일본 시즈오카현 코텐바시와의 문화 교류 계획을 취소했다. 경기 광명시는 일본 정부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 조치에 대응해 규제 철회 때까지 일본과 교류를 전면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불매 운동도 거세게 일고 있다. 경남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해외 이주민들도 경제 침략을 한 일본을 규탄하면서 불매운동에 동참했다.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13개국 이주민으로 구성된 경남지역 이주민 단체들은 6일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경남에 사는 이주민 대다수는 아시아 출신으로 과거 일본의 침략과 전쟁을 겪은 피해의 기억이 각인돼 있다"며 "아시아 전역을 죽음의 전쟁터로 내몰았던 일본이 과거사를 반성하기는커녕 총성 없는 경제 침략을 자행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인천지역 중소상인과 시민들은 부평공원 내 평화의 소녀상에 헌화한 뒤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행위를 규탄했다. 중소상인과 인천 19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노(No) 아베 노(No) 재팬 인천행동'은 "일본 경제보복의 본질은 전범 국가로서의 국제 침략 행위를 부정하는 것"이라면서 "경제 독립이야말로 진정한 독립이라는 신념으로 일본 제품 불매와 일본 안 가기 운동을 계속해서 실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천상인연합회, 한국마트협회인천지회, 인천시수퍼마켓협동조합, 인천시도소매생활용품사업협동조합 등 지역 상인 단체들은 지난 달부터 일제 불매 운동을 벌이고 있다.
수원시 전통시장상인연합회는 최근 "일본 정부가 경제 보복 조치를 철회할때까지 일본 제품은 사지도, 팔지도 않겠다"고 선언했다. 불매 운동에는 수원시 22개 전통시장 상인회 소속 5000여명이 모두 참여한다. 이미 영동시장 등 4개 전통시장상인회는 지난달 29일 시장 입구에 일본 제품 판매 중단, 불매 운동을 선언하는 현수막까지 설치했다. 최극렬 수원시전통시장상인연합회장은 "전통시장이 일본 제품 판매 중단·불매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울산남구도시관리공단은 고래를 탐방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고래바다여행선
[인천 = 지홍구 기자 / 창원 = 최승균 기자 / 울산 = 서대현 기자 / 안동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