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짜 경유 주유 현장 단속 / 사진=한국석유관리원 제공 |
등유에 콩기름을 섞은 가짜경유를 만들어 판 일당과 이를 알면서도 구매하고 정부로부터 보조금까지 받은 화물차주 등이 적발됐습니다.
한국석유관리원 수도권남부본부는 인천지방경찰청 교통범죄수사팀과 함께 콩기름을 섞은 자동차 연료 첨가제를 만들고 이를 등유에 혼합해 가짜경유를 만들어 판 일당과 이를 사들인 화물차주 등을 적발했다고 오늘(26일) 밝혔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인천 서구 소재 자동차 연료 첨가제 제조업체 대표인 51살 장 모 씨는 정상 첨가제를 작은 용기에 소분하는 과정에서 콩기름 약 30%를 혼합한 뒤 새로운 제품으로 탈바꿈시켜 연간 약 5천ℓ(1억3천만원 상당)를 시중에 유통했습니다.
또 장 씨는 해당 첨가제를 등유에 혼합하는 방식으로 가짜경유를 제조해 화물차 등에 직접 팔거나 불법 판매업자에게 판매하는 식으로 약 91만ℓ(13억3천만원 상당)를 유통했습니다.
장 씨에게서 가짜경유를 공급받은 판매업자 45살 최 모 씨와 47살 제 모 씨는 인천 소재 한 폐기물업체와 결탁해 이곳에 소속된 서울, 인천, 경기지역 덤프트럭 화물차 100여대에 주기적으로 가짜경유를 주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장 씨 등은 저장시설 내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화물차 운전자들에게 저장시설 출입구의 비밀번호를 알려줘 새벽 시간대에도 운전자들이 자유롭게 들어와 직접 주유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석유관리원으로부터 불법행위가 적발돼 영업정지나 강제 폐업되는 경우 다른 불법 업자의 상호를 도용하는 수법으로 영업을 계속했습니다.
화물차 운전자들은 장 씨 등으로부터 가짜경유를 시중가격(약 1천465원)보다 약 30% 저렴한 1천∼1천100원에 구매하고 정상 경유를 구매한 것으로 속여 정부로부터 화물차 유가보조금을 받았습니다.
난방용 연료로 제조된 등유를 차량이나 기계 연료로 사용하면 정상제품과 비교해 연비와 출력이 떨어지고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 배출량이 최대 48% 증가해 환경을 오염시킬뿐더러 연료공급계통의 부품이 파손돼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단속은 석유관리원이 석유제품 수급보고시스템을 활용한 정보 분석 과정에서 석유판매업 신고 후 단기간에 등유 판매량이 집중되는 등 이상징후를 감지하면서 시작됐습니다.
거래상황 및 사회관계망(SNA) 분석을 진행하는 동시에 인천지방경찰청과 공조해 약 3개월간의 잠복·추적을 한 끝에 불법유통 경로를 찾고 폐기물처리업체 소속 덤프트럭 화물차 운전자들의 가담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석유관리원 손주석
석유관리원과 인천경찰청은 콩기름을 섞은 경유용 첨가제가 온라인 사이트 등을 통해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어 지금까지 확보한 거래 자료를 토대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