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촛불집회 당시 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가 간첩 사건을 기획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민단체 군인권센터는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무사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함세웅 천주교 신부를 중심으로 촛불시민들을 간첩단에 엮어 넣고자 했다"고 주장했다.
센터에 따르면 기무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촛불 정국을 주도한 민간인 등을 사찰하며 이들을 간첩으로 몰아가기 위한 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간첩 사건을 기획하기 시작했다고. 특히 '민주주의 국민행동(국민행동)'과 이 조직의 상임대표인 함 신부가 기무사의 타겟이었다는 것이 센터 측의 주장이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기무사가 2015년부터 함 신부와 '민주주의 국민행동'에 대한 사찰을 자행했던 것이 이 간첩 사건을 조작해내기 위해 벌여온 작전의 일환이었다"고 말했다.
센터는 당시 기무사가 대통령 탄핵 기각을 확신하고 박 전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에 복귀함과 동시에 계엄령 선포와 간첩 조작 사건을 터뜨리려고 했다고도 전했다. 또 "간첩 조작 사건이 아직까지도 안보지원사에 보관돼 있으며 이는 기무사에 대한 인적 청산이
이에 센터는 수사 당국에 간접 조작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과, 예전 기무사 인원에 대한 강도 높은 인적청산 추진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진상 규명을 위해 조현전 전 기무사령관의 국내 송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