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에 따라 부당한 활동 제한 조치로 근무하지 못한 장애인 도우미들에게 해당 조치를 내린 지방자치단체가 미지급 임금 등을 배상해야 한다고 대법원은 판단했다.
대법원 2부(주심 안철상 대법관)는 이모씨 등 '경상남도 장애인 도우미뱅크' 소속 장애인 도우미 55명이 경상남도와 회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경상남도는 2010년 4월 이씨 등이 이용자의 신청이 없는데도 이용 신청서를 임의로 작성해 활동비를 부당하게 수령했다며 각각 3개월 활동정지나 자격정지 등 처분을 내렸다.
이에 이씨 등은 "법령상 활동 제한 조치 사유가 아닌데도 부당한 조치가 내려졌다"며 근무하지 못한 기간의 활동비 합계 4억5000여만 원을 지급하라고 소송을 냈다.
재판에서는 이용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도우미가 근로기준법상 노동자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됐다.
노동자에 해당해야 근무하지 못한 기간의 활동비를 '미지급 임금'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1·2심은 " 업무 수행 전반에 있어서 '장애인 도우
대법원도 "장애인 도우미들의 근로자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며 하급심 판결을 그대로 확정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설하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