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15개 주요 대학이 현 고교 2학년생이 치르는 2021학년도 입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을 소폭 늘립니다.
교육부 권고에 따라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린 학교가 많지만, 대부분 학생부종합전형(학종)도 함께 늘린 탓에 '정시 확대'를 요구한 공론화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늘(3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2021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보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서울 소재 15개 대학은 총 5만1천692명을 모집합니다.
이들 대학은 정시 수능전형으로 모집인원의 29.5%(1만5천236명)를 뽑습니다. 수능전형 비중은 2020학년도(27.5%, 1만4천261명)보다 2%가량 늘어난 것입니다.
지난해 대입전형 공론화 결과 "정시를 확대하라"는 학부모 의견이 많았고 이에 따라 교육부는 대학에 2022학년도까지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을 30% 이상으로 맞출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에 연세대(27%→30.7%), 이화여대(20.6%→30.7%), 동국대(27.1%→31.2%)가 2021학년도부터 수능전형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렸습니다.
서울대(20.4%→21.9%), 고려대(16.2%→18.4%), 한양대(29.4%→29.6%), 경희대(23.0%→25.2%)도 수능전형을 늘리긴 했지만 30%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교육당국 입장에서는 입시지형을 좌우하는 주요 대학들이 2021학년도부터 수능전형 비중을 30%에 맞추기를 기대했으나 아쉬운 결과입니다.
현 고교 1학년생 중 서울대와 고려대를 지망하는 학생 입장에서는 두 학교가 2022학년도에 수능 전형을 10%가량 대폭 늘려 정시 30%를 맞출지, 그렇다면 어느 전형을 줄일지 등이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주요 대학 상당수는 2021학년도에 학종도 늘릴 계획입니다. 학종이 수능에 비해 신뢰도와 공정성이 떨어진다는 여론과는 반대되는 방향입니다.
2021학년도 주요 대학 학종 비중은 2020학년도 43.7%(2만2천700명)에서 44.0%(2만2천761명)로 늘어납니다.
특히 연세대(34.9%→48.9%)와 건국대(48.9%→59.3%)는 2020학년도에 비해 학종 비율을 10% 이상 대거 늘립니다. 이대, 서강대, 한양대 등도 학종을 소폭 늘립니다.
고려대가 학교 내신성적 위주 전형인 학생부교과전형 비율을 9.6%에서 27.8%로 대폭 늘리는 점도 눈에 띕니다.
교육부는 2022학년도에 수능전형 비중이 30% 이상이 아닌 학교는 입학사정관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서 배제할 방침이지만, 교과전형이 30% 이상인 경우는 예외로 인정해주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고대는 이 점을 이용해 교과전형을 대폭 늘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신 학종 비율을 62.3%에서 47.5%로 줄였습니다.
송근현 교육부 대입정책과장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자격에 교과전형 30% 이상인 학교는 예외로 한 것은 학생 충원난을 겪는 대학을 배려하는 취지였다"면서 "고대는 충원난을 겪지 않는 대학이므로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송 과장은 "지난해 공론화의 취지를 대학에 계속 설득하고 이해시켜서, 고대를 포함한 모든 주요 대학이 2022학년도에는 수능전형을 30% 이상으로 맞추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교육부는 20개 대학이 제출한 2022학년도 수능 선택과목 지정 현황도 발표했습니다.
2022학년도 대입전형 계획은 내년 4월 발표 예정이지만, 2022학년도에 수능 선택과목 구조가 크게 바뀝니다. 이 때문에 교육부는 수능 선택과목만이라도 1년 일찍 발표할 것을 각 대학에 요청했고 이에 고려대, 연세대 등 20개 학교가 미리 수능과목 지정계획을 제출했습니다.
이들 학교는 대부분 인문계에서는 선택과목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에서는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가 수학에서 '기하'나 '미적분'을 선택해야 한다고 지정했습니다.
이들 7개 학교와 한양대(에리카), 인천대는 자연계열의 경우 탐구영역에서 과학탐구로만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고 정했습니다.
2022학년도 수능은 문·이과를 통합하는 '2015 교육 과정'의 취지에 따라 문·이과통합형으로 처음 치러지는 수능입니다. 학생들은 인문·자연 계열 구분 없이 같은 공통 및 선택과목을 놓고 수능을 치릅니다.
일각에서는 대학들이 특정 계열에 선택과목을 지정하는 현상이 일반화하면 문·이과 통합이라는 취지가 퇴색한다는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에 선택과목을 제출한 학교들은 자연계열에 한정해 '선수과목' 개념으로 지정한 것 같다"면서 "고등학교에서 공통수학·공통사회 등을 가르치고, 학생부 위주 전형에서는 과목 이수를 지정하지 않으므로 문·이과 통합 취지는 유지되는 수준이라고 본다"고 평가했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8월과 12월에 추가로 각 대학의 2022 수능 선택과목 지정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