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들은 5G 커버리지의 한계로 5G가 잡히는 곳이 극히 적고, 신호가 잡히더라도 LTE 대비 빠른 속도를 체감하지 못하겠다고 비판합니다. 5G에서 LTE로 전환할 때 먹통이 된다거나, 5G 때문에 LTE 속도가 느려졌다는 불만도 심심치 않게 나옵니다. 언제쯤 5G를 현재 LTE처럼 안정적으로 쓸 수 있게 될지 의문입니다.
오늘(20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안정적인 5G 품질을 확보하는 데에는 최소 1∼2년의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우선 초기 5G 커버리지를 확보하려면 기지국 대수가 절대적으로 중요한데, 이를 구축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이달 3일 기준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은 8만5천261개였습니다. SK텔레콤이 3만8천213개, KT가 3만5천264개, LG유플러스가 1만1천784개입니다.
이중 서울·수도권에 설치된 5G 기지국이 5만4천899개(64.4%), 5대 광역시에 설치된 기지국이 1만8천84개(21.2%)입니다.
2011년 상용화된 LTE의 경우 올해 3월 기준 기지국 수는 SK텔레콤이 37만6천829개, KT가 21만5천10개, LG유플러스가 24만551개로 3사를 합쳐 총 83만2천380개로 5G 기지국 수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SK텔레콤은 연내 5G 기지국을 7만개, LG유플러스는 상반기 5만개, 연내 8만개까지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T는 연내 목표 구축 대수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타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통사 관계자는 "전국망 구축 최소 기지국 대수를 12만대 수준으로 보면, 내년은 되어야 서비스지역을 전국으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기지국 수만으로 네트워크 품질이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너무 촘촘히 설치돼 커버리지 중첩 지역이 많아도 품질
실내나 지하에서 5G를 이용하는 것은 또 다른 얘기입니다. 5G 주파수는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이 있으면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내에서 이용하려면 별도의 중계기를 달아야 하는데 현재는 실내에서 거의 이용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